굴 제철은 날씨가 추워지는 10월부터 4월까지입니다. 굴은 5월부터 8월까지가 산란기라서 이 기간에는 출하가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호를 위한 독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먹지 못합니다. 겨울철 굴을 먹고 나타나는 복통이나 설사는 노로바이러스 증상일 수 있습니다.
굴을 먹은 후 복통이나 설사가 나타나는 경우 우리는 상태가 좋지 않은 굴을 잘못 먹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겨울철에는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장염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더위에 약한 노로바이러스는 반대로 추운 계절에 왕성하게 활동을 하게 되고, 제철을 맞은 굴에 붙어 사람에게 들어오게 됩니다.
1. 굴 제철이 바뀌고 있다.
서두에서 이야기를 했지만, 굴 제철은 쌀쌀해지기 시작하는 10월부터 산란기가 시작되기 전인 4월까지입니다만, 최근에는 유전자 개량을 통해 산란을 할 수 없는 굴 종자가 개발되었습니다. 기존 우리가 먹는 굴은 이배체 굴이지만, 유전자를 개량해 산란을 할 수 없게 만들어 독소를 품지 않는 삼배체 굴이 개발되면서 여름철에도 굴을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여름철에 먹는 굴은 노로바이러스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에 굴 제철이 변할 수도 있습니다.
2. 굴 먹고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많은 이유
다른 해산물도 많은데 유독 굴을 먹고 난 후 노로바이러스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을까요? 몇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비 위생적인 바다 환경
양식장이 위치한 바다의 비 위생적인 환경 때문입니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지만 예전에 만들어진 바닷가 마을에서는 여전히 하수가 그대로 바다로 흘러드는 곳이 많습니다. 주로 남해안 연안에서 양식되는 굴이 이런 오염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몇 년 사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세금을 들여서 이런 하수를 모아 처리 후 바다로 내보내는 시설을 만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오수와 분료가 바다로 흘러들고 있습니다. 거기에서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굴을 우리가 먹을 수 있습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선박에서 바로 바다로 분료를 버리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도 지자체에서 바다 위에 화장실을 만들어서 이용하게 만들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완전하게 해결되지는 않았습니다.
생으로 먹어야 제맛
겨울철 굴은 생으로 먹어야 제맛입니다. 초장을 살짝 얹고 마늘편 하나와 청양고추를 얹어서 먹으면 풍부한 맛이 입 안에 가득합니다. 열에 약한 노로바이러스는 가열을 하면 모두 사멸되지만, 굴은 생으로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로바이러스 증상인 복통과 설사를 일으키기 아주 좋은 조건을 가진 해산물입니다.
3. 노로바이러스 증상
감염 증상은 보통 12시간에서 48시간 이후부터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가벼운 증상부터 심각한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메스꺼움과 구토
- 복부 통증이나 경련
- 설사
- 미열
- 오한
- 두통
- 몸살기운
노로바이러스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은 있지만, 치료제는 없습니다. 보통 24시간 ~ 72시간 정도 설사와 통증이 반복되다가 서서히 줄어들게 됩니다. 설사를 자주 하게 되면 심한 탈수로 인해 몸에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물을 자주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면 집에서 쉬면서 수분 보충에 신경을 쓰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조금씩 드시는 것이 좋은데, 처음에는 흰 쌀죽을 조금씩 나누어 먹는 것이 도움이 되며, 설사 및 복통이 조금씩 진정되면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으로 속을 달래 가며 식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노로바이러스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열 후 섭취하는 것입니다. 85℃에서 1분 이상 가열하면 노로 바이러스는 사멸하게 되니 굴을 드실 때 숯불위에서 구워 드시거나 굴찜, 굴밥, 굴국 등 다양한 요리를 통해 섭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생굴과 굴 무침 등을 좋아하지만, 몇 해 전 노로바이러스로 겨울철에 고생을 한 경험이 있어 그 이후부터는 굴국밥이나 굴 구이로 즐기고 있습니다.
노로 바이러스 증상으로 설사 등이 나타난다고 해서 설사를 멈추는 지사제는 함부로 드시면 좋지 않습니다. 설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몸 안의 문제 원인이 배출되어 정상을 찾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노로바이러스가 감염 환자의 구토, 분변, 침, 타액 등에 의해 전염될 수 있기에 며칠 동안은 증상이 있는 분과 가족들은 화장실을 따로 사용하시고, 수건 등도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뇨의 원인과 고치는 법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06 |
---|---|
길랑바레 증후군 원인과 자연치유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1.30 |
관절염에 연골주사 맞아도 되나요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1)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