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은 어릴 때 걸린 수두 바이러스가 몸 안에 남아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데 가격이 7만 원부터 23만 원까지 지역별, 병원별로 매우 큰 격차가 나고 있습니다. 여기에 싱그릭스는 50 ~ 60만 원으로 예상됩니다.
1.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
우리나라에서 주사하고 있는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조스타박스나 스카이조스터가 70,000원 ~ 23만원까지 (평균가 14만 원)으로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는 각 지역이나 병원마다 차이가 큰 편이라서 접종 가능한 병원에 우선 문의를 한 후 방문해서 접종을 하셔야 합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조스타박스, 스카이 조스터는 1회 접종이고, 싱그릭스는 2회 접종을 기본으로 합니다.
싱그릭스는 50세 이상 접종 시 항체 생성률이 97%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존에 출시되어 접종되고 있는 조스타박스나 스카이조스터는 50세 이상 접종시 항체 형성률이 50%대로 다소 낮은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싱그릭스를 사람들이 잘 접종하지 않는 이유는 1회 접종 시 가격이 25~30만 원이고, 2회를 접종해야 하니 총비용이 50~60만 원으로 다소 고가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배우 마동석씨를 모델로 하는 대상포진 예방접종 독려 광고가 나오고 있는데, 이 광고를 만든 회사가 싱그릭스를 출시한 GSK입니다. (글로벌 제약회사인 글락소 스미스 클라인의 약칭) 자사의 상표나 제품명은 전혀 노출하지 않고, 대상포진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 전반적인 시장을 넓히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한국에서는 전문약품 광고가 안되니 이런 방식으로 이슈를 만드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게 되고요.
한편 대상포진 예방접종 전 자신에게 대상포진 초기증상이 나타났는지 여부도 확인하시는 것이 좋은데,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대상포진 증상과 치료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2.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이 0원?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이 10만원 정도라고 해도 비용이 부담스러워 잘 맞지 않는 분들이 많으신데, 무료로 예방접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각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각 시군별로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무료 접종 프로그램은 시군별로 차이가 있는데, 운영을 하는 시군이 있고, 하지 않는 시군이 있어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보건소에 먼저 문의를 해야 합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을 무상으로 해주는 사업은 시군마다 나이의 기준도 조금씩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경남의 남해군은 65세 이상 중 기초수급자는 무료, 일반군민은 본인 부담금인 19,610원을 받고 예방접종을 해주고 있으며, 경북 영양군은 만70세 이상의 군민에게는 모두 무료로 접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도 각 구별로 무료접종 대상과 나이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주소를 두고 살고있는 구의 보건소에 전화를 해서 확인을 하시거나 인터넷을 통해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무료접종에 사용되는 백신은 조스타박스나 스카이조스터입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한 번 주사하면 약 10년 정도 약효가 지속될 수 있다고 하니 50세 이상이라면 백신 접종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저희 가족도 대상포진에 걸린 적이 있는데, 3주 정도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기도 했고, 중간중간 가려움과 따가움에 고생하는 걸 보니 예방접종을 맞아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65세 이상이라면 꼭 각 지역 보건소에 전화하셔서 대상포진 무료접종이 가능한지 먼저 확인하시고, 병원을 찾으세요.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 가래에 좋은 음식 5가지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27 |
---|---|
보청기 가격 국가보조금지원 신청방법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23 |
맹장 위치와 증상, 통증이 생기는 자리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