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 수록 청력이 떨어지거나 사고 등으로 인해 청력에 손상이 일어난 사람들이 착용하는 보청기는 청각장애판정을 받은 분들에 한해 국가보조금지원이 가능합니다. 매우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비인후과나 보청기 판매처에서 도움을 주기에 신청방법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1. 보청기 국가보조금이란?
보청기 정부 지원금이란 난청인에게 보청기 보급을 늘리고자 정부에서 보청기 구입비용을 지원해 주는 제도이며, 선 구입 후 일정 금액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이 가능한 대상자는 청각장애로 등록된 사람이 한하며,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는 최대 117만 9천 원, 차상위 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는 최대 131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모든 보청기에 지급되는 것은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가격 고시 등록 제품에 한해 정부의 지원금 지급이 가능하니 보청기 구입 전 이런 부분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보조금은 보청기 구입 시 초기 구입가격을 지원하는 부분과 이후 최대 4회까지 유지 관리 비용을 지원하는 부분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를 합쳐서 위에 보조금 최대 금액이 정해지게 됩니다.
꼭 알아야 할 점은 "청각 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에 한해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다른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차상위 등급이거나 기초생활수급자라고 해도 청각 장애 등급이 없는 분들에게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2. 청각 장애 등급 신청
청각 장애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검사 장비가 있는 이비인후과나 대학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한 달에 한 번씩 3회 이상 방문해서 아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순음 / 어음 검사 3회
- ABR 검사 1회
대학병원은 장애 진단을 위한 장비들이 다 갖춰져 있지만, 이비인후과 중에서는 이런 장비들이 다 갖춰지지 않은 곳들도 많기 때문에 청각 장애 진단을 위해 병원을 찾기 전에 병원에 사전에 문의해서 장애 진단용 검사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 후 방문하셔야 합니다.
청각 장애 판정을 받기 위해서는 약 6개월 정도(검사기간 포함)가 필요합니다.
3.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 신청방법
보통은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 및 신청은 보청기 판매점에서 준비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위에서 이야기 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가격 고시 등록 제품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현재 가격고시 대상 제품은 약 186개 제품으로 4가지 제품군으로 구분됩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264호)
- 제품군 I (70만원 이하) : 12개 제품
- 제품군 II (70만원 초과 ~ 90만원) : 24개 제품
- 제품군 III (90만원 초과 ~ 111만원) : 108개 제품
- 제품군 IV (111만원 초과) : 42개 제품
제품군이나 대상은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사전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 청각 장애 등록
위에 알려드린 절차대로 이비인후과나 대학병원 등을 방문하셔서 해당 검사를 받은 후 청각 장애 등록을 먼저 하셔야 합니다.
(2) 병원 방문
이후 병원에 방문하셔서 보장구 처방전을 발급 받아야 합니다. 처방전에 따라 보청기를 구입해야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보청기 판매점
처방전을 받은 후 보청기 판매점을 방문하여 자신에게 맞는 보청기를 구입하시는데, 거래명세서와 의료기기 판매업 신고증, 보장비 급여비 신청서, 보청기 바코드 등을 받습니다. 이런 서류는 모두 보청기 판매점에서 준비해줍니다.
(4) 병원 재 방문
보청기를 구입한 날(영수증에 찍힌 날짜)로 부터 한 달 후 처음 보장구 처방전을 받았던 병원을 방문해서 해당 처방전을 발급해 준 의사 선생님께 보장구 검수 확인서를 받아야 합니다.
(5) 건강보험공단에 서류 제출
모든 서류를 가지고 복지카드와 본인 명의의 통장 사본을 첨부한 후 건강보험 공단에 제출하면 2~3주 간의 서류 심사 기간을 거쳐 보조금이 통장으로 지급됩니다.
다소 복잡하고, 긴 시간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보청기의 구입 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으니 청각 장애 등급을 받으신 분들이라면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을 신청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과 무료접종 가능한 곳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23 |
---|---|
맹장 위치와 증상, 통증이 생기는 자리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22 |
비문증 원인과 치료방법, 자연치유 가능?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