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격리기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의견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논의되는 단계는 아니지만, 미국을 비롯해 다른 나라들에서는 이미 시행하기도 하고, 격리기간을 축소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기도 합니다. 호주에서는 9월 9일부터 무증상자에 대해 코로나 격리기간을 5일로 단축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목차
1. 변화하는 코로나 격리기간
2. 코로나 격리기간이 짧아져도 괜찮을까?
3. 우리나라의 코로나 격리기간은?
1. 변화하는 코로나 격리기간
호주 내각은 9월 9일(금)부터 무증상 코로나 감염자에 대한 격리기간을 기존 7일에서 5일로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물론 노인 요양원과 같은 고 위험시설이나 코로나 관련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들은 여전히 7일간의 격리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이와 함께 호주에서는 국내선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 비행기 내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을 폐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는 위드 코로나가 가을만큼이나 성큼 다가온 느낌입니다. 이와 함께 10월부터는 코로나 지원금 없이 5일간 격리하는 방안은 여전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런 방향은 결국 코로나 격리기간이 완전히 폐지되는 수순으로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다만, 호주 멜버른 대학교의 멜버른 인구 및 보건 학장인 낸시 박스터(Nancy Baxter)교수는 이번 결정이 과학적인 결정이 아닌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정치인들은 팬데믹이 끝난 것처럼 이야기를 하기 원한다는 것이죠.
일본 역시 코로나 격리기간을 단축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무증상 7일, 유증상 10일 격리로 정해진 격리규칙을 무증상 5일, 유증상 7일로 줄이는 것을 논의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는 현재 일본의 상황과 깊은 관계가 있는데, 현재 하루 10만 ~ 20만 정도의 확진 규모를 꾸준하게 보이고 있어서 약 160만 명이 자가격리 중이기 때문에 격리기간을 줄여서 경제에 타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정치적인 결정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는 코로나에 감염되었다고 해도 증상이 없다면 외출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기도 합니다. 증상이 없는 사람들은 코로나 격리기간 중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구입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입니다.
2. 코로나 격리기간이 짧아져도 괜찮을까?
The Lancet에 실린 영국의 연구에서는 코로나에 감염된 57명을 대상으로 한 감염성 바이러스 부하와 증상을 추적했습니다. 대상자 중 절반은 최대 5일까지 지속되는 전파기간을 가졌으며, 4분의 1은 전파 기간이 3일 이하였습니다. 또 다른 4분의 1은 7일 이상의 전파 기간을 갖고 있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훨씬 낮은 수준의 바이러스 배출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로만 국한한다면 전체 감염자의 75%는 5일 이하의 전파기간을 가진 셈이며, 나머지 25%는 7일 정도의 전파 기간을 갖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바이러스 부하가 약하게 나타나면서 전파에 대한 위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 격리기간을 5일로 줄이는 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은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감염이 가능한 정도의 바이러스 양이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높은 백신 접종률을 생각할 때 코로나 격리기간을 줄이는 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우리나라의 격리기간은?
우리나라의 코로나 격리기간은 여전히 7일입니다. 격리기간을 줄이는 논의도 아직까지는 공식적으로 없는 상태입니다. 아마도 당분간은 7일이라는 격리기간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 생활지원금이 줄어들거나 일부에게만 지급되는 방식으로 바뀌고, 직장에서도 유급휴가를 주지 않는 것으로 바뀌면서 검사를 받지 않는 숨은 감염자가 더 많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상태라면 코로나 격리기간이 큰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고 위험자를 접촉하는 일에 종사하는 분들이거나 어린 아이들이 있는 가정이라면 스스로 조심하면서 검사를 받고, 엄격한 격리를 누가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하고 있으니 좀 더 생산적인 방향으로 코로나 격리기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와 관절을 위한 히알루론산 효능 7가지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2.09.13 |
---|---|
베리의 왕 아로니아 효능과 먹는 방법, 부작용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2.09.02 |
다섯 가지 맛이 난다는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2.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