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자가 9만 명 가까이 나오며 주춤한 기세입니다. 연일 증가세를 보이며, 어제는 10만 명을 돌파한 것에 비해 오늘은 88,384명으로 약간은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데요. 실제적으로 줄어든 것인지 아니면 검사를 받지 않은 사람이 많은 것인지는 명확지 않습니다. 코로나 검사 비용 때문이겠죠. 전에는 무료로 받았거나 5,000원으로 받을 수 있었던 신속항원검사(RAT) 비용이 증상이 없는 사람, 또는 우선 검사 대상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3~7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검사비 무료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코로나 검사 비용은?
2. 코로나 검사비 무료 기준
3. 우리동네 코로나 검사 병원은?
1. 코로나 검사 비용은?
기존 코로나 검사비용은 정부에서 보조를 해주었기에 누구나 5,000원을 내면 검사를 받을 수 있었고,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었을 때는 무료로 검사를 받기도 했습니다만, 이제는 증상이 없다면 30,000원 ~ 70,000원까지 병원마다 차이가 있는 금액을 지불해야 합니다. 진료비부터 검사비까지 모두 개인이 부담을 해야 합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대상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47.5%는 무증상이었으며, 증상이 있는 환자들도 대부분 가벼운 인후통이나 두통, 기침 및 가래 정도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습니다.
증상이 있어서 검사를 받는 경우는 전문가 신속항원 검사인 RAT를 받을 때 5,000원만 내면 되지만, 무증상일 경우 확인을 하고자 한다면 각 병원에서 책정한 검사비와 진료비를 모두 지불해야 검사가 가능합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약간의 미열이 있거나 잔기침이 있거나, 가래가 있다고 "호소"만 해도 5,000원에 검사를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RAT는 미급여 항목이기 때문에 병원의 크기나 병원별로 책정해 놓은 진료비 등의 차이가 있어서 금액이 병원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환자가 부담하는 5,000원은 진료비 항목이며, 의사가 코로나 19가 의심된다고 판단하거나 유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국가에서 전액 검사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밀접 접촉자도 동거인인 가족 같은 경우는 보건소를 통해 무료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지만, 단순 접촉자로 분류된다면 비용을 내고 검사를 받아야 하고, 해외여행이나 출장을 위해 검사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도 모두 비급여로 전액을 부담하고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건강보험이 의료적 치료 목적에 비용을 지급하는 것이니 이런 정책이 법적으로는 맞을 수 있지만, 이런 정책으로 인해 무증상 감염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확산시킬 수 있는 우려가 더욱 커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와 맞물려 기업체에서 코로나에 감염된 사람에게 유급휴가가 아닌 무급 또는 연차를 이용한 휴가를 실시하기 때문에 확진 판정을 받으면 손해라는 생각이 늘어나면서 검사를 기피하게 되고, 이 때문에 확진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지금의 정책은 비용은 절감할 수 있지만, 각자 알아서 조심해야 하는 "각자도생" 방역 정책인 듯합니다. 지금의 방역정책은 검사와 추적, 격리는 모두 손을 놓은 상태이며, 확진 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 사람들에 대해서만 조치를 취하겠다는 후 대책만 있는 상태입니다.
2. 코로나 검사비 무료 기준
보건소나 임시 선별 검사소를 통해 무료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우선순위 대상자로만 한정됩니다.
우선 순위 대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 60세 이상의 고령자
- 동거인이 확진된 밀접접촉자
-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소견서 지참)
- 자가검사 키트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양성 키트 지참)
- 해외에서 입국한 내국인 및 장기체류 외국인(입국 1일 이내 자택 또는 숙소 관할 보건소에서 검사)
이 중 해외에서 입국한 단기 체류 외국인은 공항의 코로나 19 검사센터에서 검사를 받아야 하며, 비용은 자부담입니다. 검사를 받은 후 결과가 나올 때 까지는 숙소 및 자택에서 대기해야 합니다.(권고사항)
이 외에 RAT 검사를 5,000원(진료비)에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증상이 있는 경우
- 의사가 코로나 감염자로 의심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3. 우리 동네 PCR 검사 병원은?
코로나에 감염되었거나 출장 및 여행 등의 목적으로 RAT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곳은 집 주변의 다양한 병 의원에서 검사가 가능합니다만, PCR 검사는 정부에서 지정한 일부 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가능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자신이 사는 지역을 입력한 후 분야별에서 "코로나 19 검사 실시기관"을 선택하고 검색을 누르시면 해당 지역에서 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안내해줍니다.
만약 자가격리 중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도 아래 사이트에서 코로나19 중증응급진료센터를 찾아 연락하시거나 지역 보건소 등에 연락해서 안내를 받으셔야 합니다.
https://www.hira.or.kr/rd/hosp/getHospList.do?pgmid=HIRAA030002020000#tab03
세부 조건별 찾기 < 병원 · 약국찾기 < 병원·약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www.hira.or.kr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든 3일만에 코로나 재감염 이유는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0) | 2022.08.01 |
---|---|
코로나 목감기 차이, 증상으로 구별하는 법 - 보고보고 건강보고서 (1) | 2022.07.27 |
코로나 걸렸을 때 먹어야 할 음식 5가지 - 보고 보고 건강보고서 (0) | 2022.07.26 |
댓글